본문 바로가기

언론/2019년

29/03/2019 [이데일리 스냅타임] “트랜스젠더, 어디에나 있지만, 어디에도 없어요”

김 대표는 이러한 트랜스젠더들에 대한 혐오가 만연해 이러한 혐오문화를 바꾸기 위해 단체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사실 트랜스해방전선의 처음 시작은 트랜스젠더 지인끼리 모여 작은 계처럼 만든 모임이었다”며 “진행하다 보니 우리끼리 노는 모임도 좋지만, 우리의 삶을 바꿀 수 있는 인권 운동적인 모임을 해보자고 결심을 해서 만들게 됐다”라고 말했다.
트랜스해방전선은 지난해 소수자 인권과 관련된 20여 편의 논평을 발표했으며, 다양한 집회에 참여했다. 전국 퀴어문화축제에서 부스 활동을 했고, 차별금지법제정을 위한 평등행진, 한국여성대회 등 다양한 집회에 참석하여 연대하였으며, 지난해 11월 17일 이태원광장에서 제1회 트랜스젠더 추모의 날 집회 및 행진을 주최했다.
지난해 열린 트랜스젠더 추모의 날 집회 구호는 ‘그만 죽여라, 우리도 살고 싶다’였다. 트랜스해방전선에서는 100여 명이 참석할 것이라 예상했는데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공감해주셔서 연인원 700여 명 정도가 참가했다고 밝혔다. “당일 이태원 거리 행진을 하는데 행렬의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였다”며 “정말 가슴이 벅찼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성별정정 과정에서도 많은 피해가 있다고 말했다. “법적 성별 정정 법률이 아예 없기 때문에 절차가 복잡하고 판사 재량에 의해 많이 결정되는 부분이 있다”며 “진단서 2장, 불임수술 진행, 부모동의와 인우보증, 혹은 형제, 자식의 동의 등 수많은 문서가 필요하고 범죄 경력이나 빚도 있으면 성별 정정이 불가하다”라고 말했다.
심지어 “판사가 사람은 태어난 대로 살아야 한다는 식의 생각을 가지고 있으면 아무리 서류를 철저히 준비해도 통과가 안 될 때도 있다”라고 말했다. 게다가 사무관에게 성기를 검사하고 오라는 판사도 있었다고 사례를 설명했다. 김 대표는 이 모든 게 법률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라며 “이를 위해 가시화의 날을 맞아 법적 성별 정정 법률 제정을 위한 거리 서명전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러한 표기 방법으로 바뀌면 성별이분법으로 표기하기 힘든 논바이너리 트랜스젠더, 젠더퀴어 등도 배제되지 않고 성별 표기를 할 수 있게 된다”라고 말했다. 국가기관에서 남성, 여성 이외의 성을 인정한 최초 사례였다.
마지막으로 김 대표는 “올해도 전국에서 열리는 퀴어문화축제에 참여하고 트랜스젠더 추모의 날 역시 준비해야 한다”며 앞으로도 바빠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이러한 활동의 목표가 있다면 “트랜스젠더를 포함한 모든 소수자가 해방되어 혐오의 굴레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사는 것”이라며 그래서 단체이름도 트랜스해방전선이지 않느냐고 말하며 말을 마쳤다.

원문 보기: http://snaptime.edaily.co.kr/2019/03/%ED%8A%B8%EB%A0%8C%EC%8A%A4%EC%A0%A0%EB%8D%94-%EC%96%B4%EB%94%94%EC%97%90%EB%82%98-%EC%9E%88%EC%A7%80%EB%A7%8C-%EC%96%B4%EB%94%94%EC%97%90%EB%8F%84-%EC%97%86%EC%96%B4%EC%9A%94/